“세계은행의 진로는 한국이 과거에 겪었던 길로 향해 갈 것이다. (지난 시절 한국이 경험했던 것처럼) 길은 안정적이고도 모두가 낙관할 수 있는 곳이 될 것이다.” <뉴욕타임스 4월 16일자>
“나는 비포장 도로와 높은 문맹률을 가진, 전쟁이 막 끝난 한국이란 나라에서 태어났다. 나는 그토록 가난한 나라가 글로벌 경제 속에 편입되면서 가장 역동적이고 부유한 곳으로 변해 가는 것을 지켜봤다.” <파이낸셜타임스 3월 28일자>
김용 총재는 세계은행 총재에 입후보할 때는 물론 총재로 당선된 뒤에도 한국과 한국계에 대한 말을 빼놓지 않았다. 미국교육을 받은 미국 국적자로서가 아닌, 한국계로서 한국의 경험과 발전사를 전세계에 전도하겠다는 포부를 ‘틈만 나면’ 밝혔다. 김용 총재의 성공담은 ‘결코’ 머리 좋은 한국계 인물의 개인적인 영광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한국전쟁 이후 한국인이 쌓아 온 파란만장한 현대사의 ‘대변인이자 증거’로서 세계은행 총재에 당선된 것이다.
1959년 서울에서 태어난 김용 총재는 1964년 미국 아이오와주 머스카틴(Muscatine)으로 건너간다. 아버지 김낙희(1987년 별세)씨는 한국전쟁 중이던 17세 때 평안북도 남포에서 단신 월남, 서울대 치대를 나왔다. 머스카틴에 정착한 김낙희씨는 아이오와주립대학 치과교수로 일했다.
어머니 전옥숙씨 역시 평안북도 선천 출신의 실향민이다. 외할아버지는 시조시인 전병택씨고 외할머니 이경자씨 또한 시인이었다. 문학가 집안의 딸답게 전옥숙씨는 미국에 건너가 아이오와대학에서 퇴계 연구로 박사학위까지 받았다. 전쟁과 가난 때문에 주변 사람들 모두가 한반도 어딘가로 흩어지거나 아예 외국으로 떠나서 살아야 했던 것이 김용 총재의 가계사(家系史)이자 한국의 현대사이다.
김용 총재 가족의 첫 보금자리인 머스카틴은 인구 2만의 작은 내륙 도시로 주변의 나무를 이용한 가구산업이 발달한 곳이었다.
김용 총재의 중·고교 재학시절은 한국인에게 ‘특히 약한 부분’을 강화하는 시기로 활용된 듯 하다. 사회성이 부족한 책상물림 모범생이 아니라 미식축구팀 쿼터백과 농구팀 포인트 가드로 활약했다. 운동을 통해 화합과 조화를 배운 셈이다. 다트머스대학 총장으로 학생들과 함께 랩을 부르는 유튜브 영상물이 화제가 됐지만 김용총재의 ‘끼’는 이미 중·고교 시절부터 단련된 것이라 볼 수 있다.
김용 총재는 문학적 상상력이 풍부한 어머니 전옥숙씨가 자신의 ‘끼’를 장려했다고 말한다. 열심히 운동과 공부를 병행한 끝에 머스카틴고등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아이비리그 브라운대학으로 진학했다.
김용 총재는 동양인으로는 처음으로 아이비리그 다트머스대학 총장에 오른 인물이기도 하다. 미국 대학 사정을 아는 사람이라면 유색인이, 특히 동양인이 최고 상아탑의 총수가 된다는 것은 결코 간단하지 않음을 알고 있다.
미국 대학은 총장과 학생들과의 대화를 상설화하고 있다. 틈만 나면 만나서 학문과 인생의 선배로서 대화를 나눈다. 김용 총재가 대학 2학년 때 나눈 아버지와의 대화는 학생들에게 전해 주는 단골메뉴이기도 하다.
“자신의 정열이 향하는 곳으로 인생을 걸어라. 그렇지만 뭔가 기능적인 부분을 갖고 있다면 자신의 정열을 현실로 만드는 것이 더 쉬울 수 있을 것이다.”
브라운대학을 졸업한 김용 총재는 1982년부터 하버드대학 대학원에서 의학과 인류학을 공부했다. 1968년 마틴 루터 킹 목사 암살사건 이후 어린 김용이 결심했던 ‘세상의 불평등을 없애겠다’는 다짐을 실현할 수 있는 최적의 찬스였다. 기능으로서의 의학과 정열로서의 인류학에 매진했다. 본업인 의학과 함께 인류의 역사배경 미래에 대해 고민하면서 1993년 인류학 박사까지 따냈다.
1993년 이후 하버드대학에 머물면서 공중의학(Social Medicine)과 인권을 결합한 분야의 독보적인 전문가로 떠올랐다. 공중의학은 의학, 의약, 정치, 문화, 인종, 경제를 종합적으로 해석하는 영역이다. 하버드대학 내 공중보건(HSPS) 소장으로 있으면서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한 의료 봉사에 나섰다.
하버드대학 MBA(경영학석사) 과정과 공동으로 ‘전세계 건강도우미 프로젝트(GHDP)’를 만들어 초대 회장에 오르기도 했다. 이때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한 후천성면역결핍증(AIDS)과 결핵 예방운동에 본격 나섰다.
2009년 4월 다트머스대학 총장에 임명된 뒤에도 지진피해를 입은 아이티(Haiti)에 의료봉사단을 파견하는 등 개발도상국에 대한 의료지원을 계속했다. 의학을 정치와 인권에 연결시키는 것은 학문, 특히 하버드대학 같은 곳에서도 그때까지 시도된 적이 없는 영역이었다. 저널리즘이나 사회운동으로는 가능할지 몰라도 ‘학문’의 한 분야로 인정받은 것은 김용 총재가 처음이었다.
하버드대학과 다트머스대학에서 벌인 현장중심의 의료지원운동은 김용 총재가 세계은행의 수장이 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배경으로 작용했다. 개발도상국을 주된 고객으로 하는 세계은행 총재로서 이미 ‘실전경험’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었다. 과거처럼 미 국무부나 국방부에서 낙하산으로 내려오는 정치인과 확연히 달랐다.
한국은 인구억제·문맹퇴치·보건의료·교육·인권·환경이란 측면에서 개발도상국이 가장 부러워하는 성공케이스이다. 한국계이기 때문이 아니라 한국과 한국인이 보여 준 객관적인 성적’이 세계은행을 움직이는 나침반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물론 그의 인생이 보여준 성공담은 개발도상국 출신자들에게 주는 또 하나의 ‘오바마 스타일의 꿈과 모델’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글·유민호 (워싱턴 주재 칼럼니스트)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