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구조의 구성 요소
영화는 숏, 장면, 시퀀스 등으로 구성되며, 모든 경우가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막act 도 그 기본 요소 중 하나다. 이들 용어는 누구나 쉽게 통상적으로 쓰는 용어이기 때문에 그 의미가 종종 혼돈스럽다.
숏
숏은 한 이미지를 한 번 찍은(take)것이다. 촬영 카메라는 움직일 수도 있고 고정될 수도 있다. 가까이 접근하거나 광각으로 찍은 숏, 좌우로 움직이는 팬이나 위아래로 움직이는 틸트가 있다. 숏은 카메라 스위치를 켜는 시점에서 시작하며 끌 대 종결된다. 이 숏은 편집자의 손을 거쳐 새로운 모습으로 취사선택이 되며, 시작과 끝이 다시 가다듬어진다. 개별 숏은 이야기의 흐름에 대해 많은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시점, 촬영시간, 분위기, 감정, 개성, 리듬, 테마, 숏은 반전을 나타낼 수도 있는데 이것은 줄거리를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진전시키는 것을 말하며, 보통 한 상호아에서 다른 상황으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장면
장면은 단일 장소에서 촬영한 일련의 연속적 숏 묶음을 말한다. 예를 들어 "법원을 담은 장면"이나 "보트에서 일어난 장면"을 생각할 수 있다. 장면은 보통 한 장소를 담은 단순 숏보다는 복잡하며, 전체적인 사건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가 된다.
시퀀스
시퀀스란 일련의 숏과 장면으로 작품 저네 이야기의 한 부분이 되는 어떤 사건에 대해 거의 끊김 없이 지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시퀀스는 책의 한 장에 해당되는 개념이며, 시작, 중간, 종결 부분으로 구성된다. 시퀀스의 긑에 어떤 전환점이 들어 있을 때는 장면이나 숏의 전환점보다는 그 규모가 훨씬 더 크다. 모든 장면은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그래도 나름의 뚜렷한 전환점이나 반전이 들어 있는 것이 이상적이다.
시퀀스는 전체 이야기의 틀 속에서 어떤 몫을 하고 있는지 그 기능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시퀀스는 장면과 달리 하나 이상의 장소에서 촬영이 이루어진다.
막
막은 일련의 시퀀스로 구성되며 이야기를 진행시켜 핵심 전환점에 이르게 한다. 핵심 전환점이란 이야기의 절정으로,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 필연적으로 생겨나며 그 뒤에는 또다시 일련의 시퀀스가 생겨나는 근거로서 작용한다. 각각의 막장은 이야기 전체의 맥락에서 분명한 역할을 하게 되며 긴장감과 속도감은 막이 바뀔 때마다 계속 증가한다. 전통적으로 3막의 이야기 구조(통상 드라마 구조라고 알려진 구조)에서 첫 번째 막은 이야기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영화는 숏, 장면, 시퀀스 등으로 구성되며, 모든 경우가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막act 도 그 기본 요소 중 하나다. 이들 용어는 누구나 쉽게 통상적으로 쓰는 용어이기 때문에 그 의미가 종종 혼돈스럽다.
숏
숏은 한 이미지를 한 번 찍은(take)것이다. 촬영 카메라는 움직일 수도 있고 고정될 수도 있다. 가까이 접근하거나 광각으로 찍은 숏, 좌우로 움직이는 팬이나 위아래로 움직이는 틸트가 있다. 숏은 카메라 스위치를 켜는 시점에서 시작하며 끌 대 종결된다. 이 숏은 편집자의 손을 거쳐 새로운 모습으로 취사선택이 되며, 시작과 끝이 다시 가다듬어진다. 개별 숏은 이야기의 흐름에 대해 많은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시점, 촬영시간, 분위기, 감정, 개성, 리듬, 테마, 숏은 반전을 나타낼 수도 있는데 이것은 줄거리를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진전시키는 것을 말하며, 보통 한 상호아에서 다른 상황으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장면
장면은 단일 장소에서 촬영한 일련의 연속적 숏 묶음을 말한다. 예를 들어 "법원을 담은 장면"이나 "보트에서 일어난 장면"을 생각할 수 있다. 장면은 보통 한 장소를 담은 단순 숏보다는 복잡하며, 전체적인 사건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가 된다.
시퀀스
시퀀스란 일련의 숏과 장면으로 작품 저네 이야기의 한 부분이 되는 어떤 사건에 대해 거의 끊김 없이 지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시퀀스는 책의 한 장에 해당되는 개념이며, 시작, 중간, 종결 부분으로 구성된다. 시퀀스의 긑에 어떤 전환점이 들어 있을 때는 장면이나 숏의 전환점보다는 그 규모가 훨씬 더 크다. 모든 장면은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그래도 나름의 뚜렷한 전환점이나 반전이 들어 있는 것이 이상적이다.
시퀀스는 전체 이야기의 틀 속에서 어떤 몫을 하고 있는지 그 기능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시퀀스는 장면과 달리 하나 이상의 장소에서 촬영이 이루어진다.
막
막은 일련의 시퀀스로 구성되며 이야기를 진행시켜 핵심 전환점에 이르게 한다. 핵심 전환점이란 이야기의 절정으로,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 필연적으로 생겨나며 그 뒤에는 또다시 일련의 시퀀스가 생겨나는 근거로서 작용한다. 각각의 막장은 이야기 전체의 맥락에서 분명한 역할을 하게 되며 긴장감과 속도감은 막이 바뀔 때마다 계속 증가한다. 전통적으로 3막의 이야기 구조(통상 드라마 구조라고 알려진 구조)에서 첫 번째 막은 이야기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Comments
Post a Comment